상장사 공시 주석 조회, 이렇게 활용하세요

XBRL 주석 조회 서비스 | 상장사 공시 비교·검색 – Reference-XBRL
invector's avatar
Sep 10, 2025
상장사 공시 주석 조회, 이렇게 활용하세요

인벡터 Reference-XBRL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이미 수천 명이 사용하고 있는 인벡터 Reference-XBRL 서비스의 사용법에 대해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인벡터의 주석 조회 서비스(Reference-XBRL)는 단순히 상장사 공시 담당자만을 위한 도구가 아닙니다.

  • 실제 공시를 준비하는 상장사 실무진(공시 담당자, 회계 담당자 등)

  • XBRL 용역을 수행하는 회계법인

  • 작성된 XBRL을 직접 평가·검증하는 금융당국 및 정부 기관 임직원

까지 모두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저희는 다양한 사용자가 공시 준비 과정에서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설계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구조 속에서도, Reference-XBRL이 제공하는 기능과 장점들을 조금 더 자세히 풀어 설명드리려 합니다.

  1. 링크 접속: https://reference-xbrl.invector.co/

사이트 접속 시 보이는 첫 화면
위와 같은 화면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1. 먼저, 첫 화면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간단한 사용 가이드가 나타나는데, 이 가이드를 기반으로 하나씩 실제 사용 방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앞으로 이어지는 설명에서는 Reference-XBRL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를 검색하고, 주석을 조회하며, 비교 기능까지 활용할 수 있는지를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기업을 선택하는 화면
보고 싶은 기업 선택
  1. 가장 기본적인 기능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Reference-XBRL 페이지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주석을 공시한 회사를 직접 선택하거나, 검색창을 통해 특정 회사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초기 화면에서는 기본(Default) 값으로 삼성전자가 설정되어 있어, 별도의 검색 없이도 삼성전자의 공시 주석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회사로 손쉽게 이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주석을 선택하는 화면
보고 싶은 주석 선택
  1. 그 다음 단계에서는, 선택한 기업이 공시한 주석들 중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 싶은 주석을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 기업별로 수십 개 이상의 주석이 존재할 수 있는데, 원하는 주석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내용이 즉시 조회 화면에 표시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주석만 빠르게 확인하거나, 특정 항목 중심으로 공시 내용을 비교·검토할 수 있습니다.

행/열 구조를 확인하는 섹션
테이블 빌딩에 사용된 택사노미,아이템등 확인이 가능함
  1. 선택한 주석을 클릭하면, 해당 기업이 그 주석을 어떻게 구성(빌딩)했는지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단순히 결과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작성 과정에서 사용된 세부 요소까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

디테일을 보여주는 택사노미
해당 텍사노미 클릭 시 보이는 디테일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 주석 작성 시 사용된 택사노미(Taxonomy) 요소

  • 기업이 직접 추가·확장한 커스텀 태그

  • 수치에 적용된 단위(Unit)

  • 공시용으로 제공되는 영문 번역 정보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단순한 주석 결과물이 아니라, 그 주석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구조적이고 기술적인 세부사항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 공시 담당자뿐 아니라 회계법인, 규제기관 임직원 모두에게 중요한 비교·검증 자료가 됩니다.

원본 확인하기 버튼 설명
원본 확인하기 버튼
  1. 마지막으로, 선택한 기업이 실제로 제출한 공시 보고서(DSD, 감사보고서 등) 원문은 ‘원문 보러가기’ 버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해당 기업의 DART 공시 페이지로 이동하여, 원본 문서를 직접 열람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Reference-XBRL에서 확인한 주석 데이터와 실제 공시 원문을 나란히 검토할 수 있어, 공시 담당자 입장에서는 검증과 크로스체크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검색 바 활용
검색 활용 방법

추가로, 특정 기업이나 주석 항목을 미리 알지 못하더라도 검색 기능을 통해 원하는 내용을 바로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내용을 포함해 공시한 기업과 그 기업의 주석이 즉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검색창에 “주주”라고 입력하면, ‘주주’ 관련 내용을 공시한 모든 회사와 해당 주석이 한눈에 정리되어 나타납니다.
이를 활용하면 기업별로 일일이 찾아볼 필요 없이, 필요한 항목 중심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정리

이처럼 Reference-XBRL 서비스는 단순히 주석을 조회하는 수준을 넘어,

  • 기업별 주석의 실제 작성 방식(빌딩 과정) 확인,

  • 확장 태그·단위·번역까지 포함한 기술적 검증,

  • 원문 보고서(DART) 직접 열람,

  • 키워드 기반 빠른 검색 기능

등을 모두 지원합니다.

즉, 공시 담당자에게는 정확한 참고 자료, 회계법인에게는 품질 관리 도구, 그리고 규제기관에는 검증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벡터는 Reference-XBRL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여, 상장사와 회계법인, 그리고 공시 평가 기관 모두가 더 쉽고, 더 정확하게 공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