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pt: 계정과목명, 분류 항목 등 주로 ‘문자적 정보’가 포함된 셀
Fact: 표에서 하나의 행과 열에 대응되는 주로 ‘숫자 정보’가 포함된 셀
문장형 주석 등과 같은 예외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안녕하세요. XBRL 솔루션 인벡터입니다.
오늘은 XBRL 용어를 실무적으로 사용하고 이해하기를 원하시는 공시 담당자 분들을 위한 글을 준비했습니다.
실제 사례와 함께 알아보는 쉽고 간단한 용어 설명,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1. 택사노미(Taxonomy)란 무엇일까?
택사노미란, XBRL 공시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되는 표준 용어(요소(Element))와 해당 요소(Element)의 한글 및 영문 명칭(Label), 요소(Element) 간 관계(표준 구조), 회계기준 근거조항(Reference) 등을 체계적으로 집계한 분류체계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가이드북 (p.17)
Tax-onomy의 onomy는 rules, laws, or knowledge = 어떠한 분류 체계를 뜻합니다. 즉, 공시를 위해 사용되는 모든 정보의 최소 단위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규칙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개별 택사노미(Taxonomy)에는
어떤 회사가(Entity),
언제(Context-Period),
어떤 계정과목을(Element),
어떤 단위로(Unit)"
보고했는지 등의 모든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가 나타나 있습니다.
💡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보고서 상 '매출액 100억’이라는 정보는 ‘매출액(Concept)’ + ‘100억(Fact)’ 로 나눌 수 있고, 개별 Concept와 Fact 내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 태그가 붙습니다.
<ifrs-full:Revenue contextRef="CurrentYear"unitRef="KRW">1,000,000,000</ifrs-full:Revenue>
처럼 계정과목(Revenue)·기간(CurrentYear)·통화(KRW) 정보가 한 번에 담긴 컴퓨터 언어가 ‘매출액 100억’이라는 값 안에 숨어있는 것이죠.
2. 행과 열을 구성하는 용어는 뭐라고 부르는가?
재무제표의 대부분은 표로 이루어져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모든 표는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죠. 행과 열을 나타내는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Explanatory [문장영역]
Abstract [개요]
Table [표]
열 (파란 부분)
Axis [축] :
자산과 부채
Domain [구성 요소] → 주로 합계 열 :
금융자산, 범주
Member [구성 요소]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기타금융자산
등
행 (빨간 부분)
Line Items [항목] → 표에 보이지 않음
Line Item :
평가손익(기타포괄손익)
,평가 처분 손익(당기손익)
등
2-1. Abstract [개요] & Line Items [항목]
Abstract [개요]는 하위의 요소(Element)를 그룹화하여 해당 요소(Element)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는 소제목 등의 역할 수행합니다.
Line Items [항목]은 하위의 행(Line Item)을 그룹화하여 해당 행(Line Item)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는 소제목입니다.
금융감독원 가이드북 (p.7)
가이드북의 정의에 의하면, 개요와 항목은 행과 열의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한 ‘소제목’ 개념으로 보여집니다. 실제로 두 개념은 모두,
실제 공시 정보(Fact)의 값(Value)을 입력할 수 없는 비계산 요소라는 점
abstract="true"
로 명시적으로 정의된다는 점
에서 동일합니다.
하지만, 더 자세히 살펴보면 개요와 항목은 위계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죠. 위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이 Abstract(개요)와 Line Items(항목)은 포함관계에 속합니다.
💡
자산
(Abstract)유동자산
(Abstract / Line Items)현금및현금성자산
(Line Item)재고자산
(Line Item)
비유동자산
(Abstract / Line Items)유형자산
(Line Item)무형자산
(Line Item)
즉, Line Items는 Abstract의 한 종류이지만,
주로 ‘표시’ 목적의 계층 구조에서 ‘행들의 집합의 제목’ 역할로 더욱 세분화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2-2. Line Items [항목] - Line Item [행]
이번 시간에는 행 개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Line Items[항목]은 Line Item[행]을 하나로 묶는 표시로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
Line Item[행]:
사과
,딸기
,배
,참외
Line Items[항목]:
과일
사과
의 경우 과일
이기도 하지만, 식물
에도 포함되는 것처럼 Line Item[행]은 Axis - Member의 엄격한 논리적 관계에 비해 비교적 유연합니다.
이 둘의 관계는 '보고서에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이런 Line Items[항목]의 배치는 택사노미 리스트 상에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Definition link 상에서는 1 role = 1 line items이기 때문에 Role name 의 접미어에 영어 소문자가 들어가는 식으로 Link Role이 분할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Presentation link에선 1개 Role에 여러개의 line items가 등장하죠.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공시 담당자 여러분께서 특정 셀을 태깅할 때, 어떤 link를 기준으로 작업하는 지에 따라 어떤 Line Items[항목] 및 Line Item[행]를 선택해야 하는지 잘 선별해야 합니다.
저희는 해당 상황에서 정정공시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link에서 세분화되는 경우를 전부 AI에 학습시켜 Presentation link와 Definition link가 동일할 경우에는 Line Items[항목]만 선택해도 자동으로 Line Items[항목]가 지정되도록 도와주고, 다를 경우에는 작성자가 의도에 맞게 Line Items[항목]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Invector for XBRL은 단순한 데이터 처리를 넘어, 회계 및 공시 데이터에 숨겨진 의미와 가치를 발굴합니다. 무수한 숫자 속에서 핵심적인 인사이트를 찾아내고, 조직과 시장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뒷받침합니다.
공시 담당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XBRL 주석 작성을 위하여 인벡터가 다방면으로 지원하겠습니다.
📌 자세한 제품 정보를 원하시면, 제품소개서를 확인해보세요! 📌
오류 0건의 XBRL 재무공시를 실현하는 그날까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