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사항 (가)
(가) 단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시 정보 입력시 유의한다.
당기순이익, 주당이익, 주식수 등 단위수가 각각 다르므로 입력 후 미리보기를 통해 공시하고자 하는 숫자가 공시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주식수, 주당금액 속성은 단위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원단위로 입력한다.
2025년 7월 15일, 금융감독원이 XBRL 주석 작성 가이드에 주당이익(EPS) 주석 모범사례를 추가했습니다. 해당 가이드에서 우선주 주당이익까지 함께 공시하는 기업들이 보통주·우선주 행(Line Item)을 어떻게 구분·표시해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정 가이드의 핵심 포인트를 정리하고, 여러 기업의 분기보고서를 비교 분석해 보통주와 우선주 EPS를 명확히 구분해 기재하는 실무 팁과 주의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중략)
주당이익 주석 작성 전에 확인해야 할 사항은 다음 네 가지입니다.
‘재무상태표’를 확인했을 때, 우선주자본금과 보통주자본금을 별도로 기재하는가?
희석 효과가 있는 잠재적 보통주를 발행하여 기본주당이익 외에 희석주당이익 공시도 필요한가?
당기순이익, 계속영업이익, 중단영업이익을 모두 주석에 공시하는가?
공시한다면 주당이익[표] 하단에 모두 한 번에 공시할 것인가?
혹은 각각 별도의 표로 나누어 따로 공시할 것인가?
(* 중단영업에 대해 보고하는 기업은 중단영업에 대한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지 않았다면 주석으로 공시가 필요합니다.)
주당이익의 계산을 위한 분자 및 분모의 조정내역을 어떻게 공시하고 있는가?
네 가지 사항에 따라 주석 공시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북 업데이트에서는 우선주 주당이익을 추가적으로 공시할 때의 모범사례를 제시했기 때문에, 보통주 단일로 공시하는 경우와 보통주와 우선주를 공시하는 경우로 나누어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주석은 분자로 사용된 보통주순이익과 분모로 사용된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통한 주당이익의 산출내역을 공시하는 자료입니다. “보통주순이익”,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희석)주당이익 금액” 등을 행으로 구성하고, “보통주의 분류[축]”이 아닌 “주식의 종류[축]”을 이용함에 유의합니다.
우선주 주당이익을 공시하지 않고, 보통주 주당이익만 공시하는 두 기업의 XBRL 주석을 살펴보겠습니다. A기업과 B기업은 희석주당순이익 별도 공시 여부의 차이점을 보입니다.
해당 보고서의 경우 주당이익 관련 사항에 대해 올바른 태그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기타 산정 방법에 대한 기술 내역 또한 문장형 주석 형태로 남겨두지 않고 블록태깅 처리하였습니다. ‘유의사항(가)’에 따르면,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분기순이익’, ‘기본주당이익’,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의 단위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해당 셀들의dataType
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유의사항 (가)
(가) 단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시 정보 입력시 유의한다.
당기순이익, 주당이익, 주식수 등 단위수가 각각 다르므로 입력 후 미리보기를 통해 공시하고자 하는 숫자가 공시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주식수, 주당금액 속성은 단위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원단위로 입력한다.
❗
dataType
: XBRL의 속성 중 데이터의 기술적 유형을 지정하는 형식적 제약이다.
종류 : monetaryItemType
, stringItemType
, dateItemType
, decimalItemType
, sharesItemType
, perShareItemType
, pureItemType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분기순이익’ = monetaryItemType
‘기본주당이익’ = perShareItemType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sharesItemType
(중략)
중략된 XBRL 주당이익 주석 가이드북 해부도감 전문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XBRL 작성 시 주요 유의사항을 확인해보세요.
더욱 유의미한 포스팅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오류 0건의 XBRL 재무공시를 실현하는 그날까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