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BRL(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Linkbase의 개념을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저번 게시글로 Link Role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XBRL 데이터의 핵심 구조인 Linkbase에 대해 심도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Linkbase란 무엇인가?
Link Role이 보고서 내 특정 섹션이나 목차를 식별하는 묶음이라면, Linkbase는 어떤 목적과 관점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것인지 결정하는 관계도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Linkbase는 XBRL 데이터의 서로 다른 관점을 정의하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집니다.
XBRL 작성 시 3개의 별도 Linkbase가 필요한 이유
'
매출총이익
'과 같은 하나의 재무 데이터가 완전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최소 세 가지 다른 질문에 답해야 합니다.표시 관점: 이 항목은 손익계산서에서 '
매출액
' 바로 아래에 와야 하는가?계산 관점: 이 항목은 '매출액'에서 '
매출원가
'를 빼서 계산하는 것이 맞는가?분류 관점: 이 항목을 '
사업부문별
'로 나누어 볼 수 있는가?
XBRL은 이처럼 서로 다른 성격의 관계를 하나의 복잡한 규칙으로 묶는 대신, 각각의 목적에 특화된 세 개의 독립적인 링크베이스로 역할을 분리하여 데이터를 정의합니다. 하단에서는 3개의 Linkbase의 상세 내용에 대해 더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Presentation Linkbase: 보고서는 어떻게 보여야 하는가?
Presentation Linkbase는 재무제표의 시각적인 계층 구조와 표시 순서를 정의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어떤 항목이 어떤 소제목 아래에 어떤 순서로 나열되어야 하는가?"와 같은 시각적 표현에 대한 질문에 답합니다.
기술적 구조로는 주로 부모(Parent)-자식(Child) 관계를 통해 단순한 트리 구조를 형성하는데, 예를 들어, '유동자산
' (부모) 아래에 '현금및현금성자산
'과 '재고자산
'이 들여쓰기된 형태로 표시되도록 지시합니다. 이 관계는 "재무상태표를 그릴 때, '현금및현금성자산
'과 '재고자산
'을 '유동자산
' 제목 아래에 들여써서 표시하라"는 지시일 뿐, 이들 간의 합계 관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유동자산
(Abstract, Parent)
현금및현금성자산
(Line Item, Child)재고자산
(Line Item, Child)
저희 인벡터 솔루션에서는 이 Presentation Linkbase의 구조와 순서를 그대로 따르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하고 직관적인 화면을 제공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2. Definition Linkbase: 데이터는 어떻게 분류되어야 하는가?
Definition Linkbase는 데이터 간의 '논리적 관계'를 정의합니다. "특정 계정과목(Line Item)을 어떤 분류 기준(Axis)으로 쪼개어 볼 수 있는가?"라는 차원(Dimensional) 관계를 정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기술적 구조로는 하이퍼큐브(Hypercube), 축(Axis), 도메인(Domain), 구성요소(Member) 간의 유효한 조합을 정의하는데, 해당 정의를 통해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태깅을 원천적으로 금지하며, 데이터 유효성 검증의 규칙으로 사용되어 논리적 정합성을 강제합니다.
'
매출액
'이라는 Line Item은 '사업부문
축(Axis)'으로 분류될 수 있다.'
사업부문
축'은 '반도체 부문'과 '가전부문
'이라는 Member를 가질 수 있다.'
매출채권
'이라는 Line Item은 '사업부문
축'으로 분류될 수 없다.
3. Calculation Linkbase: 계산은 어떻게 하는가?
Calculation Linkbase는 숫자 타입(monetary, decimal 등)의 Line Item들 간의 덧셈/뺄셈 관계를 정의합니다. "어떤 항목들을 더하고 빼면 이 항목의 값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역할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합산의 대상이 되는 각 항목에 가중치(weight)를 부여하여 계산 관계를 정의하는데, 더해지는 항목은 weight="1.0"
, 빼는 항목은 weight="-1.0"
입니다. 예를 들어 “영업이익
의 값은 매출총이익
값에서 판매비와관리비
값을 뺀 결과와 일치해야 한다"는 검증 규칙을 나타내려고 할 때, 각각의 가중치(weight) 값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weight="1.0"
) + 판매비와관리비
(weight="-1.0"
)
사용자가 데이터 입력을 마쳤을 때, XBRL 솔루션은 Calculation Linkbase를 바탕으로 모든 계산식의 유효성을 자동으로 검증하고, 합계가 틀린 부분이 있다면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줍니다. 미국은 오픈 소스를 무료로 배포해 유효성 검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지만, 한국은 아직 사람이 직접 정합성 검사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세 링크베이스의 상호 보완적 관계
최종적으로 세 링크베이스는 서로 상호 작용하며, 다른 목적을 가지고 한 데이터의 의미를 완성시킵니다.
이처럼 역할이 다른 관계를 분리함으로써 XBRL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갖게 됩니다.
<aside>
Presentation Linkbase에서는 기타수익
이 영업이익
'아래'에 위치하지만, Calculation Linkbase에서는 영업이익
에 '더해져서' 다음 단계의 이익을 계산하는 관계를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
이라는 하나의 항목을 더 자세히 뜯어본다면 아래와 같이 요약 가능합니다.
Presentation Linkbase: "손익계산서에서
매출총이익
다음에 표시하라"고 위치를 지정Calculation Linkbase: "
매출총이익
에서판관비
를 뺀 값과 일치해야 한다"고 수학적 관계를 검증Definition Linkbase: "이 값은
사업부문별
로 쪼개어 볼 수 있다"고 분석적 차원을 정의
인벡터는 XBRL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저희 Invector 솔루션은 세 링크베이스의 규칙을 동시에 해석하고, 적용합니다.
사용자가 보는 화면을 그릴 때 Presentation Linkbase 활용하고,
데이터의 논리적 유효성을 검증할 때 Definition Linkbase 활용하였으며,
숫자의 계산 정확성을 검증할 때 Calculation Linkbase 활용한 검증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통합적 접근을 통해 인간의 논리성을 넘어선 AI의 탁월한 지능으로 보다 정확한 이용자에게 가장 최적의 태그를 추천해주는 기능을 만나보세요.
XBRL Linkbase의 세 가지 유형을 이해하는 것은 정정공시를 방지하기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XBRL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계시거나, 재무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이 세 가지 Linkbase의 특성을 충분히 숙지하시고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문의를 통해 인벡터를 만나보세요.
공시 담당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XBRL 주석 작성을 위하여 인벡터가 다방면으로 지원하겠습니다. 문의하기를 통해 우리 회사 재무제표에 적합한 계정과목을 찾고, 빠르게 공시 업무를 완료하세요.
📌 자세한 제품 정보를 원하시면, 제품소개서를 확인해보세요! 📌
더 많은 XBRL 관련 정보를 원하시면, 해당 블로그 구독을 통해 뉴스레터로 다양하고 유익한 XBRL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겠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오류 0건의 XBRL 재무공시를 실현하는 그날까지.
감사합니다.